– 市, 올해 ‘이룸통장’ 참가자 733명과 7.26~8.9 자치구별 약정식
– 3년 간 매월 10~20만 원 저축 시 15만 원 매칭 적립…미래자산 활용 가능
– 8월부터 저축…향후 신청 및 선발조건 개정으로 참가 인원 확대 전망
□ 중증 장애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고자 지난해부터 전국 최초로 ‘이룸통장’ 사업을 시행한 서울시가 올해 ‘이룸통장’ 신청 접수 결과 자격요건을 충족한 733명을 선발, 약정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 지난 4월 10일부터 30일까지 ‘이룸통장’ 참가자를 모집한 서울시는 총 접수인원 1,326명 가운데 자격 요건을 갖춘 733명을 최종 선발했다.
○ 약정식은 7월 26일(금) 용산구·종로구·중구를 시작으로 다음달 9일(금)까지 각 자치구 구청과 서울시복지재단 등에서 통장 참가자와 가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다. 참가자들은 약정을 마치는 대로 8월 분 부터 저축을 시작할 수 있다.(장소 및 일정 붙임2 참조)
□ ‘이룸통장’은 취업이 어렵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중증 장애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고자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한 제도다.
□ 참가 자격은 서울시 거주 만 15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조 2호에 해당하는 중증장애인으로, 가구원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 중증장애청년이 매달 10만 원, 15만 원 또는 20만 원 씩 3년 간 저축할 경우 본인의 저축액에 매달 15만 원 씩 3년 간 매칭된 추가적립금 540만 원을 더한 금액과 은행에서 제공하는 이자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교육비나 의료비, 주거비, 창업·직업훈련비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매달 20만원 씩 3년 동안 저축할 경우 3년 간 본인 총 저축액 720만 원에 매달 15만 원씩 3년 동안 매칭 된 추가적립금 540만 원을 더한 1,260만 원은 물론, 은행에서 제공하는 만기이자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 이번에 약정을 맺는 통장 참가자 733명의 평균 연령은 26.2세이며, 장애 유형별로 살펴보면 발달장애 512명, 뇌병변장애 65명, 지체장애 41명, 청각장애 33명, 정신장애 33명, 시각장애 31명, 기타 18명으로 나타났다.
□ 배형우 서울시 복지기획관은 “중증 장애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데 ‘이룸통장’이 큰 힘이 되길 바란다”며 “내년부터는 장애등급 폐지 등으로 신청 및 선발조건을 개정하여 참가 인원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붙임 1 | ’19년 중증장애청년‘이룸통장’신청·접수 결과 |
저축 목적: 중증장애청년의 자립지원 씨앗자금으로 활용
○ 자립준비용도 : 교육비, 의료비, 주거비, 창업·직업훈련, 자동차 구입비 등
○ 미래자산용도: 장기 적립을 위한 자금 마련(신탁 등)
저축기간 : 36개월
신청자격
○ 공고일 기준 서울거주 만 15세~34세 이하 중증장애인
• 적용 기준 :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조 2호의 중증장애인
– 장애 1.2등급 및 뇌병변·시각·발달·정신·심장·호흡기·뇌전증, 팔에 장애가 있는 지체장애 3급, 상이 등급 3급 이상 |
○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인 가구
○ 한가구당 중복가입 및 다른 유사통장 수혜자 중복 가입은 제외
지원내역 : 본인 저축액 매월 10만원 이상이면 시비 15만원 지원
본인저축액(선택) | 10만원 | 15만원 | 20만원 |
시비 지원금 | 15만원 | 15만원 | 15만원 |
월 적립금 | 25만원 | 30만원 | 35만원 |
적립금(3년) | 900만원 | 1,080만원 | 1,260만원 |
○ 중도해지자는 납입 횟수에 따라 차등 지급
– 12회 이하 적립하고 타시도 전출이나 본인 희망에 의해서 중도 해지할 경우 본인 적립금 및 이자를 지급
– 13회 이상 적립한 경우에는 그간 적립금(본인기여금+매칭지원금) 및 이자 지급
신청 접수 및 서류적격자 현황
구분 | 2019년 | 2018년 | ||
총인원
(서류적격자) |
1,326명 중
733명(55.3%) |
1,892명 중
957명(50.5%) |
||
성별 및 연령 | 평균연령 | 26.2세 | 24.2세 | |
성별 | 남 | 475명(64.8%) | 623명(65.1%) | |
여 | 258명(35.2%) | 334명(34.9%) | ||
장애 | 유형 | 지적 | 374명(51.0%) | 518명(54.1%) |
자폐 | 138명(18.8%) | 178명(18.6%) | ||
뇌병변 | 65명(8.9%) | 71명(7.4%) | ||
지체 | 41명(5.6%) | 50명(5.2%) | ||
기타 | 115명(15.8%) | 140명(14.6%) | ||
등
급 |
1급 | 313명(42.7%) | 465명(48.5%) | |
2급 | 258명(35.2%) | 318명(33.3%) | ||
3급 | 162명(22.1%) | 174명(18.2%) | ||
희망
적립금 |
10만원 | 269명(36.7%) | 413명(43.1%) | |
15만원 | 168명(22.9%) | 194명(20.3%) | ||
20만원 | 296명(40.4%) | 350명(36.6%) | ||
저축 사용 용도 | 미래자산(신탁 등) | 184명(25.0%) | 277명(28.9%) | |
주거비 | 187명(25.5%) | 295명(30.9%) | ||
의료비 | 177명(24.1%) | 145명(15.2%) | ||
교육비 | 59명(8.0%) | 88명(9.2%) | ||
창업‧직업훈련비 | 45명(6.1%) | 73명(7.6%) | ||
결혼준비금 | 44명(6.0%) | 31명(3.2%) | ||
기타
(보조기기기▪자동차 구입 외) |
37명(5.3%) | 48명(5.0%) | ||
특이사항(약정취소 및 중도해지) | – | 29명
(약정취소18, 사망3, 타시도이전 4, 생활고 4) |
항후계획
○ ‘이룸통장’ 약정식 개최 : ’19. 7. 26.~8.9.
○ 본인저축 시작 : ’19. 8월
붙임 2 | ’19년 장애인‘이룸통장’약정식 일정 |
자치구 | 일시 | 장소 | 비고
(수어통역사 배치 및 기념품 수령여부) |
|
일자 | 시간 | |||
중구 | 7. 26.(금) | 13:00~18:00 | 종로구청 기획상황실(본관2층) | |
종로 | ||||
용산 | ||||
강서 | 7.29.(월) | 13:00~18:00 | 강서평생학습관 | 수어통역 지원
<기념품 재단 직접수령> |
서대문 | 7.30.(화) | 13:00~17:00 | 서대문구청 대회의실(3층) | |
양천 | 09:00~12:00 | 양천구청 해누리아트홀 | <기념품 재단 직접수령> | |
금천 | 13:00~17:00 | 평생학습관 제1강의실 | ||
강남 | 7.31.(수) | 09:00~12:00 | 강남구청 본관3층 큰회의실 | |
서초 | 13:00~18:00 | |||
마포 | 09:00~12:00 | 마포장애인종합복지관 | <기념품 재단 직접수령> | |
성동 | 09:00~12:00 | 성동구청 3층 대강당 | ||
광진 | 13:00~18:00 | |||
동대문 | 8.1.(목) | 13:00~18:00 | 동대문구청 제2회의실 | |
중랑 | ||||
동작 | 13:00~17:30 | 동작문화복지센터 3층 소회의실 | <기념품 재단 직접수령> | |
관악 | 8.2.(금) | 09:00~12:00 (1차) | 관악구청 8층 대강당 | |
13:00~18:00 (2차) | ||||
구로 | 13:00~17:00 | 구로구청 신관2층 평생학습관 | ||
도봉 | 13:00~16:00 | 도봉구청 위당홀 (M4층) | ||
노원 | 8.5.(월) | 09:00~12:00 (1차) | 노원구청 소강당(6층) | 2차에만 수어통역 지원 |
13:00~18:00 (2차) | ||||
성북 | 14:00~18:00 | 성북구청 4층 아트홀 | ||
강북 | 8.7.(수) | 13:00~18:00 | 강북구청 기획상황실 | |
은평 | 14:00~17:00 | 은평구청 본관 은평홀 | ||
영등포 | 8.8.(목) | 13:00~18:00 | 영등포구청 별관 5층 | |
강동 | 09:00~12:00 (1차) | 강동구청 대강당 | ||
13:00~18:00 (2차) | ||||
송파 | 8.9.(금) | 09:00~12:00 (1차) | 송파구청 대강당 (4층) | |
13:00~18:00 (2차) | ||||
서울시
복지재단 |
13:00~18:00 | 재단 대회의실 (5층) | 수어통역 및 문자안내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