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 시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2-28 07:27본문
![]() |
인천시사회서비스원(원장·황흥구)은 ‘프리:패스 인권센터’를 중심으로 인천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를 시작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인천시사회복지사협회(이하 협회)가 요청한 것으로 설립 이후부터 지금까지 ‘프리:패스 인권센터’가 축적한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 사업 활성화 방안을 찾는다. 현장에 있는 사회복지사 대상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해 권익지원사업 인식과 수요를 파악한다. 여기에 ‘인천사회복지종사자 권익증진 및 지위 향상을 위한 특별위원회’와 협력해 지역사회 의견도 폭넓게 반영할 예정이다. 연구 기간은 1~9월이다.
프리:패스 인권센터는 협회가 지난 2019년 인천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을 받아 시작한 사업으로 2022년 이후 인천시가 예산을 지원한다. 위기 상황에 있는 종사자의 심리, 법률·노무 상담과 사회복지기관 안전 체계 구축지원, 위기 대응 교육·윤리경영 컨설팅, 인권경영 역량 향상 리더십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인천시는 전국 최초로 지난 2020년 10월 ‘인천시 사회복지 종사자 인권 보호와 건강한 사회복지현장 조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인권보호센터 설치 근거를 마련했다. 지난해 1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을 개정하고 국가와 지자체의 사회복지종사자 인권 증진 책무와 권익지원센터 설치·운영 관련 법적 근거를 담았다. 이에 따라 경기, 광주, 서울 등 다른 지역에서도 관련 조례를 개정하는 등 권익지원센터 설치·운영 근거를 만들고 있다.
연구를 맡은 김지영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장은 “평소 목소리를 내기 힘든 하위직, 비정규직, 비사회복지직 종사자들의 생각을 담는 것이 이번 연구에서 가장 큰 과제이다”며 “복지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듣고 프리:패스 인권센터의 성과를 입체적으로 보여줘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인권 보호와 권익증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발전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