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전석훈 의원, 경기도의회 공공데이터 미래 준비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3-07-24 15:13본문
인공지능산업이 무수하고 발전하고 있다. 그중 ‘챗GPT’는 우리 사회와 산업 전반에 강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학생들은 리포트를 챗GPT에 맡기고, 일반인들도 챗GPT의 도움으로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는 전문가가 된다.
이처럼 우리 사회 곳곳에 스며든 AI산업 기반에는 ‘데이터’가 있다.
2015년 12월,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하 공공데이터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약 6년뒤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이하 데이터산업법)이 2021년 9월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공데이터’를 수집하고 최신화하는 것을 넘어 이제는 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경기도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일부개정조례안」과 「경기도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발의한 전석훈 의원은 경기도가 ‘공공데이터’를 이용하는데 있어 최우선으로 ‘경기도민의 안전’을 강조한다.
전석훈 의원은 “이태원 참사가 있기 두달 전, 서울시는 이미 한 통신업체로부터 ‘실시간 인구 데이터’를 제공받고 있었다”며 “제공 받은 데이터를 활용을 ‘안전’에 초점에 맞췄더라면, 이태원 참사는 일어나지 않았을 일이었을 거란 아쉬움이 크다”라고 했다.
전석훈 의원은 “경기도도 인파 밀집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재난 위험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위험상황 발생시 경찰과 소방으로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상 해야한다”며, “앞으로 공공데이터를 ‘안전’, ‘보건·복지’, ‘산업’ 등 경기도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활용하는 방안을 더욱 강구해야할 것”라고 말했다.
다만, 경기도에도 ‘통합데이터센터’의 부재라는 난관이 존재한다.
지난 2019년 경기도에서는 ‘통합데이터센터’의 필요성을 알렸으나 당시 경기도의회에서 부지용도의 부적합성으로 사업을 통과시켜주지 않았기에, 현재까지 ‘통합데이터센터’는 부재하고 각 실·국별 데이터센터를 분산되어 운영해왔다. ‘통합데이터센터’ 구축은 안정적인 정보서비스 제공과 데이터의 품질향상을 비롯해서 추후 클라우드 전환계획에 필요한 사업이다.
전석훈 의원은 “통합데이터센터는 빅데이터 산업의 가장 기본적인 골자이기에 하루빨리 사업이 진행되야 한다”며 “통합데이터센터 구축을 시작으로 경기도는 도민들을 위해서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공공데이터 산업은 실제 이용자인 경기도민들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기반이 되야 하기 때문에,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한 ‘공공데이터 경진대회’도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전글경기도의회 이인규 의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동두천시 토론회 참석 23.07.25
- 다음글경기도의회 김정영 의원, 道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 추진계획안 업무보고회 개최 23.07.24